지원 서재
작성일
2023. 11. 5. 23:44
작성자
달빛오리
날짜 일정  
6/1 팀 형성 및 아이디어 구상
6/6 초안 발표
6/15 중간 발표
6/20 마무리 발표
7/6 최종 발표 리허설  
7/8 최종 발표  

 

👉 마무리 발표 (6/29)
포도의 '포키 (Poki)'
1) 기능 설명

  • 맞벌이 가정의 부모가 자식에게 미션을 줄 수 있도록 하는 웹사이트
  • 부모가 미션을 등록하면 자식이 수행, 수행이 완료되면 포도알 하나가 추가됨
  • AI 미션 추천: AI에게 미션을 추천받을 수 있음
  • 영상통화: 부모와 자식이 통화할 수 있음

 

2) 기술적 챌린지

  • AI 미션 응답 속도 개선
  • 특정 태그를 여러번 호출 시 응답 다양화
  • 많이 호출된 태그에 대해 오랫동안 캐싱 유지 (LFU)
  • Polling 호출 방식 개선
  • useEffect를 이용한 Polling 방식에서 개선

 

3) 발표 피드백

  • 발표 연습 많이 해야 함, 네트워크 및 버그에 대한 돌발 상황에 대비해놓아야 함
  • 시연이 다소 우울함
  • 이 팀은 어마어마한 기술은 없기 때문에, 여러 기능을 빠른 시간 내에 보여줘야 함
  • 포도알이 없는 상태에서 시연한 게 의문
  • 아이의 사용성에 대한 고려가 있어야 함 -> CSS를 더 수정하든
  • 상식적으로 부모가 웹을 사용할까? 앱을 사용하지 않을까라는 생각 -> 자연스러운 상황으로 시연해야 함
  • 기능이 많이 없어서 디자인적으로든, 신박한 기능을 더 넣든, MSG를 쳐야할 듯

 

4) 포스터

  • 상식적인 걸 기술적 챌린지로 넣은 느낌, 당연히 캐싱해야지
  • 현업에서 겪을 수 있는 기술 문제를 해결했다 -> 협력사 입장에서는 '그건 당연하지'
  • 우리가 만들고 있는 서비스에서 발생할 수 있는 특정 문제를 말하는 것이 유리하다
  • 예를 들어 토큰은 챌린지가 아님, 구현의 문제

 

'Fairy-Teller'
1) 기능 설명

  • 아이들과 학부모들을 위한 맞춤형 AI 동화 제작 서비스
  • 스스로 동화책을 만들수도 있고, AI에게 만들어달라 요청할 수 있음
  • 단어, 색 등 키워드를 선택 및 입력하면 동화를 만들어줌
  • 그림체를 선택하면 페이지에 들어갈 이미지가 생성
  • 페이지에 스티커 생성, 폰트 변경, 부모의 목소리 녹음 가능
  • 제작한 동화 공유 및 댓글 달기 기능

 

2) 기술적 챌린지

  • JSON 형태로 저장된 캔버스를 로드하는 데 시간이 걸림
  • 이 부분을 여러개의 캔버스를 미리 생성하여 병렬적인 구조로 변경하여 개선

 

3) 발표 피드백

  • 이정도 발표가 적당한 듯, CSS 정도만 수정하면 될 듯
  • 인공지능을 연동하는 건 크게 어려운 일이 아님, 그런데 기능이 풍성함 그래서 발표가 적당
  • 시연할 때 글씨 크기가 다소 작음, 폰트 사이즈 최소 20으로 키워야 함
  • 초반에 인트로가 짧음, 그래서 뒤에 어떤 기능들이 나올지 기대가 안됨
  • 문제를 먼저 이야기하고 시작하는 게 사람들의 공감을 얻기에 좋음
  • 예를 들어 동화책을 여러번 읽어주면 아이들이 지루해함, 그래서 우리는 이런 서비스를 제작하게 됨, 이런이런 기능들이 있음
  • 그리고 인공지능을 이용하기 때문에 자칫, 예상과 다른 이미지가 튀어나올 수 있음
  • 그래서 시연할 때는 원하는 이미지를 하드코딩하는 게 좋을 듯

 

4) 포스터

  • 포스터 글씨가 다 너무 작음, 주요적인 키워드들은 한 눈에 확 들어오도록 폰트를 키워야 함
  • 인공지능을 연동할 때 어려웠던 점 하나를 기술적 챌린지에 넣는 것이 좋을 듯

 

'Free Talker'
1) 기능 설명

  • AI 기반 영어 회화 서비스
  • 상대방과 영어로 대화, AI에게 문장을 추천받을 수도 있음
  • 다른 유저와 상황극을 할 수 있음
  • 특정 공간에는 다른 유저와 화상 통화도 가능
  • 그동안 했던 대화는 기록이 가능하여 나중에 볼 수 있음

 

2) 기술적 챌린지

  • User Flow 사용성 개선
  • HTTP 기반의 방식에서 Websocket 방식으로 변경
  • NPC 역할에 맞지 않는 응답 발생
  • NPC 역할에 맞는 prompt로 변경

 

3) 포스터

  • 포스터는 '우리 이런 기술적 챌린지를 겪었고 해결했어요'라는 걸 보여주기 위함
  • 감초같은 기능들이 있으면 좋을 듯
  • 예를 들면 퉁명스러운 NPC 버전처럼, 스타일을 지정할 수 있다던가?
  • 너무 자신이 없는 느낌
  • '우리 이거 쓸 줄 알아요!'라는 느낌이어야 하지만, 우리는 '이런 방식을 채택했어요'라는 느낌

 

'GooglingHelper'

1) 기능 설명

  • 구글링을 도와주는 서비스
  • Chrome Extension으로 서비스 이용
  • 사이트 페이지 저장, 텍스트 스크래핑, 이미지 캡처 저장 가능

 

2) 기술적 챌린지

  • 캡처 이미지 저장 속도 개선

 

3) 발표 피드백

  • 발표를 심각하게 못함, 발표 능력이 늘지 않으면 발표자를 교체해야 할 것 같다는 생각
  • 서비스에 비해 발표 전달력이 낮으면 서비스 수준 자체가 낮아짐
  • 발표자가 기술에 대한 이해도가 너무 낮음
  • 보여준 시연은 해당 서비스에 맞지 않는 시연이었음
  • 예를 들어 캐나다 이민을 가야 하는 상황이라면 탭이 20개 이상 필요할 것으로 예상됨

 

'싱잉러너 (SingingRunner)'
1) 기능 설명

  • 노래를 부르면 캐릭터가 달림, 가장 먼저 도착한 사람이 승리
  • 기존과 차별점은 아이템이 있다는 것
  • 승자의 노래를 다시 들을 수 있음

 

2) 기술적 챌린지

  • Long Polling 방식 적용
  • Web Worker를 사용하여 병렬 처리

 

3) 발표 피드백

  • 이건 게임 서비스의 단점은 시연할 때 재미없으면 망한 것, 또한 중간에 오디오가 비면 절대 안됨
  • 게임을 3명이서 했는데, 어느 화면이 누구인지 헷갈렸음 -> 화면은 최대 2개가 좋음
  • 그리고 인트로가 너무 없었음, 설명을 적당히 하고 시연에 들어가야 함
  • 게임이 덜 혼란스럽고 더 자연스럽게 진행될 수 있도록 다듬어야 할 듯

 

4) 포스터

  • 비비드한 컬러는 포스터를 뽑아봤을 때 생각보다 안 예쁨, 색을 바꾸는 것을 추천

 

오독오독의 '뽀독뽀독'
1) 기능 설명

  • 온라인 독서실 서비스, 온라인 캠 + 뽀모도로 학습법

 

2) 발표 피드백

  • 발표가 씩씩함, 하지만 어떤 내용을 말하려는지 전반적으로 이해가 잘 안됨
  • 서비스 자체가 평범해서 설명을 너무 길게 안해도 될 것 같음
  • 시연할 때 연기를 한다고 하면, '이거 실시간으로 되고 있는 건가?'라고 하면 안됨
  • '아 실시간으로 되고 있네!'라고 얘기해야 함, 청중한테 질문을 던지면 안됨
  • QR은 안 찍을 가능성이 높음, PPT에서 빼는 것이 좋을 듯

 

모스모스의 '코드잇'
1) 기능 설명

  • 키즈들을 위한 코딩 학습 게임 서비스
  • 여러 미니 코딩 게임 + 캐릭터 상호작용

 

2) 발표 피드백

  • 에너제틱한 발표는 좋으나, 서비스에 비해 선을 많이 넘는 느낌, 텐션을 낮춰야 할 것 같음
  • 산성비는 솔로 플레이로, 다른 하나는 타자 연습같은 게임을 넣고 이것도 솔로 플레이로 넣으면 좋을 듯
  • 시연할 때의 상황이 자연스럽지 않음
  • 예를 들어 2050년에는 유치원생들도 코딩을 배운다고 가정하여 선생님들이 아이들을 관리하는 플래폼으로 하는 것이 더 자연스러움
  • 기술적 챌린지는 평범함, 우리 서비스에서 나올 법한 기술적 챌린지를 선정해야 함

 

3) 포스터

  • 구조부터 다시 잡아야 함, 일목요연하게 읽는 사람이 편하도록 만들어야 함

 

'insightLink'
1) 기능 설명

  • insight : 정리되지 않은 스크린샷을 그래프로 시각화
  • Link : 서로 연관되어 있는 정보를 연결

 

2) 기술적 챌린지

  • 쿼리 모듈화, 병렬화 (동시 실행)
  • Redis 캐싱하여 데이터를 빠르게 가져옴

 

3) 발표 피드백

  • 발표는 혼자 하는 것이 좋을 것 같음, 남자분 왜 같이 나왔는지 역할을 잘 모르겠음
  • 그리고 업로드하는 과정이 좀 쉬웠으면 좋겠음
  • 업로드하는 장면에서 '블라우스'라는 폴더에서 사진들을 가져와서 시연했음 → 자연스럽지 않음
  • 블라우스와 다른 사진들이 섞여서 올라가는 것을 보여주는 것이 더 자연스러움
  • 그리고 초반에 '여러분 스크린샷 많으시죠?'하면 안됨, '요즘 친구들의 폰에는 스크린샷이 이렇게 많습니다.'라고 시작해야 함
  • 그리고 스크린샷들을 폰에 있는데 사진 업로드는 웹사이트에서 하는 것이 좀 자연스럽지 않음

 

4) 포스터

  • 포스터가 너무 혼란함, 간단하게 보이도록 해야 함
  • 그리고 챌린지에 대해서는 멘토를 잘 활용해야 함, 예를 들어 인덱싱은 챌린지가 아니고 버그임
  • 내용 소개, CSS 등을 좀 세련되게 했으면 좋겠음

 

'Phodo'
1) 기능 설명

  • 이미지 공유 협업 툴
  • 즐겨찾는 프로젝트, 최신 프로젝트, 프로젝트 폴더 등 프로젝트를 생성하고 관리할 수 있음
  • 프로젝트 안에서 각자 본인의 사진 및 텍스트를 공유할 수 있음

 

2) 기술적 챌린지

  • 실시간 동시편집 사용자 경험 개선
  • 소켓을 사용하여 서버와의 불필요한 통신을 제거
  • Redis를 사용하여 실시간 처리의 효율성 높임
  • 카테고리 정확도 개선
  • 구글 API를 통해 나온 Output을 자연어 처리함

 

3) 발표 피드백

  • 발표 준비, 포스터 준비 하나도 안되어 있음, Frontend가 세련된 것도 아님
  • 이 서비스를 누가 쓸지, 왜 써야 하는지 하나도 이해가 되지 않음